<요점정리> 보건행정
					
						관리자					
															
					
					0					
					
					3117
															
						
						
							2020.06.11 21:05						
					
				
			■보건행정의 이해
보건행정은 일반적으로 정부와 공공단체가 국민 또는 지역사회주민의 건강을 유지.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하는 행정을 의미한다
(1)보건행정의 특징 및 범위
①보건행정의 특징: 공공성 및 사회성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봉사성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조장성 및 교육성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과학성과 기술성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행정 대상의 양면성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보건의료에 대한 가치의 상충
②세계보건기구(WHO)에서 규정한 보건행정의 범위
    : 보건관계 기록의 보존, 
      대중에 의한 보건교육, 
      환경위생, 
      전염병관리, 
      모자보건, 의료, 
      보건간호, 
      재해예방
(2)보건행정의 관리 요소
귤릭(Gulick)의 관리과정은 7종으로 구분하고 있다
(2)보건행정의 관리 요소
귤릭(Gulick)의 관리과정은 7종으로 구분하고 있다
①기획(planning, P): 조직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해야 할 일과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 방법을 개괄적으로 확정하는 행위
②조직(organizing, O): 목표의 성취를 위하여 공식적 권한의 구조를 설정하고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분업을 행하며, 각 직위의 직무내용을 확정하는 행위
③인사(staffing, S): 직원을 채용하고 훈련하며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좋은 근로조건을 주도록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
④지휘(directing, D): 관리자가 의사결정을 하고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에 따라서 각종의 명령을 발하는 행위
⑤조정(coordination, Co): 업무의 모든 부문간의 상호관계를 정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
⑥보고(reporting, R): 관리자가 그와 그의 부하가 신속하고 정확한 보고를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접수하게 하는 행위
⑦예산활동(budgeting, B): 예산의 편성.회계.통제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
■보건행정조직
1.중앙보건기구: 보건복지가족부
①보건의료정책과: 보건의료정책에 관한 종합계획의 수립 및 조정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보건의료정책의 수립 및 평가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간호조무사의 관리
②건강정책과: 지역보건의료계획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보건소 인력관리 등을 위한 총괄.조정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건강수명 등 거시지표 개발
③의료자원과: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지도 감독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의료인 등의 보수교육관리 및 지도 등
④의료제도과: 간호사.조산사.간호조무사 관련 제도에 관한 업무
⑤보건복지가족부 소속기관
㉠질병관리본부(구 국립보건원): 보건요원의 훈련,
㉠질병관리본부(구 국립보건원): 보건요원의 훈련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급.만성 전염성 질환관리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고혈압.당뇨병 등 비전염성 질환관리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인간유전체 실용화사업
㉡국립의료원: 의료조사연구, 진료, 요원훈련, 환자영양 관리
㉢식품의약품안전청: 국가검정의약품 및 식품의 품질관리와 연구평가업무를 담당
㉣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: 의료 및 약사.간호조무사의 시험 주관
2.지방보건기구: 보건소
(1)보건소의 조직: 보건계몽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
㉡국립의료원: 의료조사연구, 진료, 요원훈련, 환자영양 관리
㉢식품의약품안전청: 국가검정의약품 및 식품의 품질관리와 연구평가업무를 담당
㉣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: 의료 및 약사.간호조무사의 시험 주관
2.지방보건기구: 보건소
(1)보건소의 조직: 보건계몽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
①시.군.구(보건소 설치기준)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선에서 
    보건행정을 담당하는 말단조직이다
②보건소는 국가의 보조를 받는다
③보건소에 대한 인사.예산상의 지휘.감독권한은 시장.군수.구청장에게 있으며, 
   보건소는 시장.군수.구청장이 설치하는 지방자치단체 사업소적인 성격도 갖고 있다
④보건지소: 보건지소 설치는 보건소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때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읍, 면에 설치한다
⑤보건진료소: 1980년 농어촌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하여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일차보건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
⑥보건의료원: 보건소 중 병원의 요건을 갖춘 기관
⑦보건소간호사업
㉠대상: 지역사회 주민 전체
㉡목적: 주민의 건강에 초점을 갖고
㉠대상: 지역사회 주민 전체
㉡목적: 주민의 건강에 초점을 갖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그들의 건강요구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건강문제 발생시 의료기관에 의뢰해 건강을 유지.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
(2)보건소의 관장사업 및 기능
(2)보건소의 관장사업 및 기능
①전염병의 예방.관리 및 진료 
②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사업
③응급의료에 관한 사항
③응급의료에 관한 사항
④정신보건에 관한 사항
⑤지역주민에 대한 진료
⑥노인보건사업, 공중위생 및 식품위생
⑦국민보건증진.보건교육.구강건강 및 영양개선사업
⑧보건에 관한 실험 또는 검사에 관한 사항
⑨의료인 및 의료기관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
⑩의료기사.의무기록사 및 안경사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
⑪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한
⑤지역주민에 대한 진료
⑥노인보건사업, 공중위생 및 식품위생
⑦국민보건증진.보건교육.구강건강 및 영양개선사업
⑧보건에 관한 실험 또는 검사에 관한 사항
⑨의료인 및 의료기관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
⑩의료기사.의무기록사 및 안경사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
⑪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한
   공중보건의사.보건진료원 및 보건진료소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사항
⑫약사에 관한 사항과 마약.향정신성의약품의 관리에 관한 사항
⑬가정.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
⑭건강진단 및 만성 퇴행성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
⑮장애인의 재활사업 기타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사업
⑫약사에 관한 사항과 마약.향정신성의약품의 관리에 관한 사항
⑬가정.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
⑭건강진단 및 만성 퇴행성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
⑮장애인의 재활사업 기타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사업
(16)기타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의 향상.증진 및 이를 위한 연구 등에 관한 사업 등
☞ 보건소와 보건지소는....
    우리나라 보건사업업무를 최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보건행정기관이다
■국제보건기구
①유엔아동기금(UNICEF): 원조물품을 접수해 필요한 국가에 원조하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정당한 분배와 이용을 확인하며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주로 모자보건향상에 기여한다
②세계보건기구(W.H.O)
   : 국제연합산하의 전문기관으로 
      모든 인류의 최고 건강수준 달성을 목적으로 1948년 4월에 설립, 
      본부는 스위스의 제네바, 
      6개의 지역사무소 중 우리나라가 속하는 지역사무소는 서태평양지역이다
    ㉠6개의 지역사무소: 동지중해 사무소(본부: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)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유럽사무소(본부: 덴마크의 코펜하겐)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미주 사무소(본부: 미국의 워싱턴)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아프리카 사무소(본부: 콩고의 브라자빌)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서태평양 사무소(본부: 필리핀의 마닐라),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동남아시아 사무소(본부: 인도의 뉴델리)
㉡세계보건기구의 주요 기능
㉡세계보건기구의 주요 기능
       : 국제보건사업의 지도 조정, 
         요청에 의해 각국정부에 기술원조 및 긴급원조, 
         전염병 및 기타 질병의 박멸, 
         영양.노동.환경 위생상태의 개선, 
         국제보건조약.규칙의 제안과 수행, 
         모자위생사업, 
         정신위생사업, 
         보건분야의 연구촉진, 
         국제질병.사인 분류의 작성 및 개정, 
         진단방법의 표준화, 
         식품.생물제제의 국제기준의 발전 및 향상
③유엔식량농업기구(F.A.O): 인류의 영양기준 및 생활향상을 목적으로 설치된 기구
■보건의료전달체계
(1)보건의료전달체계의 특징
■보건의료전달체계
(1)보건의료전달체계의 특징
  ①보건의료수요자에게 적절한 의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한다
②지역별로 병.의원이 골고루 있어야 시행된다
③질병성의 심각성에 따라 적합한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
④보건의료기관의 설비,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한다
⑤건강은 국민의 기본권리이다
(2)보건의료전달체계의 필요성
②지역별로 병.의원이 골고루 있어야 시행된다
③질병성의 심각성에 따라 적합한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
④보건의료기관의 설비,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한다
⑤건강은 국민의 기본권리이다
(2)보건의료전달체계의 필요성
①필요성: 양적.질적으로 팽창하는 보건의료분야의 자원에 대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이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의료제공자나 소비자, 국가 모두에게 적당한 전달체계가 필요하게 되었다
②체계적인 의료전달이 대두되게 된 구체적 요인
㉠의료인력의 전문화 및 고급화 추세
㉠의료인력의 전문화 및 고급화 추세
    ㉡의료시설과 인력의 분포 측면
㉢의료기술의 향상
㉢의료기술의 향상
    ㉣제3자 지불제도의 도입 확산
㉤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 제고
(3)우리나라의 의료전달체계
우리나라의 보건의료전달체계는 자유방임형이다
㉤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 제고
(3)우리나라의 의료전달체계
우리나라의 보건의료전달체계는 자유방임형이다
①일차진료단계: 질병이 발생하여 진료를 받을 때 이를 처음으로 담당하는 곳으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전체 질병의 약 70~80%를 처리한다
예: 의원, 보건소, 보건지소, 보건진료소
예: 의원, 보건소, 보건지소, 보건진료소
②이차진료단계: 해당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것으로 병원급이다
③삼차진료단계: 분화된 전문의의 서비스를 받는 것이다
예: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
예: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
④특수진료병원: 특수치료나 질환을 위해 진료
예: 전염병원, 정신병원, 산업재해.특수방사선 치료병원
			예: 전염병원, 정신병원, 산업재해.특수방사선 치료병원